[투자] 금값 상승의 비밀과 2025년 금 시세 전망, 어디서 사면 될까?
- 투자
- 2025. 3. 15.

금값 상승의 비밀 그리고 2025년 금값 전망
최근 금 시세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값이 계속 오르는 이유와 미래 전망, 그리고 쉽게 금에 투자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가볍게 읽기 쉽게 써봤어요!
1. 금값이 계속해서 상승하는 이유
저도 이게 계속 궁금했습니다. 왜 자꾸 상승할까요?
금 가격이 상승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공급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금은 자연에서 채굴할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으며, 점점 더 채굴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금값 상승을 부추깁니다.
- 안전자산 선호 :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때 금은 가치 보존 수단으로 주목받습니다.
-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 여러 국가의 중앙은행이 외환 보유고 다각화를 위해 금을 적극적으로 매입하고 있습니다.
- 달러 약세 및 금리 인하 기대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이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 :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 가치가 하락할 수 있으나, 금은 이를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진짜 금의 양은 정해져 있다는게 맞는 말인가?
금은 한정된 자원입니다.
세계금협회(World Gold Council)에 따르면, 2024년 말까지 채굴된 금은 약 216,265톤이며, 연평균 공급 증가율은 1.8%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제한된 공급과 꾸준한 수요로 인해 금의 희소성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3. 2020년부터 2025년까지의 금 시세 변동
아래 표는 최근 5년간 금 가격 변동을 정리한 것입니다.
(실시간이 아니라서 가격이 조금 다를 수 있음)
연도 | 평균 국제 금 가격 (USD/T.oz) | 평균 금 가격 (KRW/돈) |
2020 | 1,770 | 92,820 |
2021 | 1,799 | 94,350 |
2022 | 1,800 | 94,400 |
2023 | 1,940 | 101,750 |
2024 | 2,500 | 131,250 |
2025 (현재) | 2,980 | 156,450 |
최근 5년 동안 금값은 약 68% 상승했으며, 특히 2024년부터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오늘의 금값은?
2025년 3월 14일 기준, 한국금거래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현재 금 시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제 금 현물 가격: $2,980/T.oz → 약 4,172,000원/T.oz (환율 1,400원 적용)
- 한국 기준 금 시세: 약 156,450원/돈 (1돈 = 3.75g)
금 시세 조회 :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23489#loading
2025년~2026년 금값 전망 (예측)
전문가들은 금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연도 | 예상 한국 금 가격 (KRW/돈) | 예상 국제 금 가격 (USD/T.oz) |
2025 | 157,500 ~ 165,375 | 3,000 ~ 3,150 |
2026 | 168,000 ~ 183,750 | 3,200 ~ 3,500 |
골드만삭스와 같은 주요 금융기관들은 2025년 말까지 $3,000 돌파를 예상하고 있으며, 일부 낙관적인 전망에서는 2026년 $4,000까지 상승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원화(KRW)로는 최대 17% 상승이 예상됩니다.
1. 금 투자는 지금이 적기 인가?
금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자산 보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금
값이 일시적으로 하락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때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단기 투자: 가격 변동성이 크므로 신중한 접근 필요 (단기 5~10% 수익 기대 가능)
- 장기 투자: 금값 상승 추세를 고려하면, 자산의 10~20%를 금으로 보유하는 전략이 유효
2. 금을 사는 방법과 쉽게 투자하는 방법
2-1. 실물 금 구매 방법
- 금 거래소 및 은행 : 한국조폐공사, 한국금거래소 등을 통해 금을 직접 구매 가능
- 금괴 또는 골드바 : 실물 금을 직접 보관할 경우 부가세 10% 및 수수료 고려 필요
2-2. 금 투자 쉽게 하는 방법
금통장은 은행에서 제공하는 금융 상품으로, 실물 금 없이 계좌를 통해 금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최소 0.01g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며, 금의 가치는 국제 금시세에 연동됩니다. 예금자보호법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대표 상품 및 정보
은행 | 상품명 | 특징 | URL | 참고사항 |
KB국민은행 | KB골드투자통장 | 0.01g 단위 입출금, 인터넷뱅킹/KB스타뱅킹 거래 |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16622 | 약 1% 스프레드, 배당소득세 15.4% |
신한은행 |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 | 0.01g부터 거래, 모바일 뱅킹 지원 | https://bank.shinhan.com/index.jsp#020703010600 | 배당소득세 15.4% |
우리은행 | 우리골드투자 | 소액 투자, 실물 인출 가능(최소 단위 조건) | https://spot.wooribank.com/pot/Dream?withyou=POGLD0002&cc=c004273:c011984&PRD_CD=P100000001#none | 실물거래 없이 금투자 환율우대 30% |
* URL 접속이 안되는 경우 해당 페이지에서 상품명으로 검색하시면 상품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2. 금 ETF (Exchange Traded Fund)
금 ETF는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장지수펀드로, 금 현물 또는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주식처럼 매매할 수 있습니다. 소액 투자와 유동성이 장점입니다.
대표 상품 및 정보
운용사 | 상품명 | 특징 | URL | 거래소 |
한국투자신탁운용 | ACE KRX 금현물 | 금현물 기반, KRX 금현물 지수 추종, 운용보수 0.5% | https://www.aceetf.co.kr/fund/K55101DN7441 | KRX |
삼성자산운용 | KODEX 금선물(H) | 금선물 기반, 환헤지(H), 운용보수 0.45% | https://m.samsungfund.com/etf/product/view.do?id=2ETF24 | KRX |
미래에셋자산운용 | TIGER 골드선물(H) | 금선물 기반, 환헤지, 운용보수 0.39% | https://www.tigeretf.com/ko/product/search/detail/index.do?ksdFund=KR7319640009 | KRX |
* URL 접속이 안되는 경우 해당 페이지에서 상품명으로 검색하시면 상품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3. 금펀드 및 ETN (Exchange Traded Note)
금펀드는 자산운용사가 금광 기업 주식이나 금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이며, ETN은 주로 금 선물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채권입니다. 장기 투자 또는 지수 연동 투자에 적합합니다.
대표 상품 및 정보
운용사/발행사 | 상품명 | 특징 | URL | 참고사항 |
삼성자산운용 | 삼성금 자산 | 금 관련 기업 주식 및 금 선물, 장기 투자 | https://www.samsungfund.com/ (검색: "골드") | 증권사/은행 가입 가능 |
미래에셋자산운용 | 미래에셋 금 관련 펀드 | 금광 기업 및 금 관련 자산 투자 | https://www.miraeasset-am.co.kr/ (검색: "골드") | - |
신한투자증권 | 신한금융 ETN | 금선물 지수 추종, KRX 상장 | https://www.shinhansec.com/ (ETN 상품 검색) | 배당소득세 15.4% |
* URL 접속이 안되는 경우 해당 페이지에서 상품명으로 검색하시면 상품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4. KRX 금시장
KRX 금시장은 한국거래소(KRX)에서 운영하는 금현물 거래 시장으로, 1g 단위로 순도 99.99%의 고품질 금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와 부가세 면제라는 세제 혜택이 큰 장점입니다. 단,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가 부과됩니다.
접근 방법 및 정보
- 공식 사이트: https://open.krx.co.kr/contents/OPN/01/01050201/OPN01050201.jsp
- 제공: 시장 안내, 거래 방법, 회원사 목록.
대표 증권사
증권사 | 서비스명 | 특징/수수료 |
NH투자증권 | KRX 금시장 | 수수료 약 0.2~0.3% |
한국투자증권 | KRX 금시장 | HTS/MTS 거래 가능 |
신한투자증권 | KRX 금시장 |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
저도 우선은 금통장부터 시작해 볼 예정입니다.